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
1. 데이터베이스에 앞서 기본 개념 익히기
1.1. 스트림
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연속적인 흐름
- 단방향으로 데이터의 흐름이 발생하므로, 양방향 전송이 필요할 경우 InputStream과 OutputStream을 모두 열어야 한다.
- IO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...
2. 네트워크
2.1. 네트워크란
서로 떨어져 있는 두 대상(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) 간에 데이터 교환을 목적으로 이뤄지는 연결 체계를 네트워크라 한다.
- 클라이언트(작업 요청하는 주체)와 서버 관계(요청받은 작업을 처리하여 결과를 보내주는 주체)로 네트워트가 주로 구성된다.
2.2. 프로토콜(protocol)
프로토콜은 약속 또는 규약을 의미한다.
2.3. IP주소
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때, 송신자와 수신자를 구별하는 고유의 주소를 말한다.
- IP 주소는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루기가 어렵다. 그래서 좀 더 손쉽게 IP를 표현하기 위해 문자로 된 '도메인 네임'이 등장하였다. 그리고 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자동 변환해주는 서버 DNS(Domain Name Server)가 별도로 있다. 둘 중 하나만 알아도 연결할 수 있다.
2.4. 포트
포트(port)는 인터넷이나 기타 다른 네트워트에서 메시지가 컴퓨터에 도달하였을 때, 컴퓨터에서 전달되어야 할 특정 프로세스를 지정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한다.
2.5. URLConnection 클래스
URL을 이용하여 단순 연결을 하는데 반해, URLConnection 클래스는 URL을 이용하여 참조된 자원에 대해 읽고 쓰는 작업을 할 수 있는 클래스다.
2.6. 소켓 프로그래밍
소켓(socket)이란 TCP나 UDP와 같은 전송 계층을 추상화해 개발자가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. 개발자로 하여금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적인 사항에 신경 쓰지 않게 해준다.
'개발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취직/이직/퇴사] 1년이 채 안되는 시간동안 취직/이직/퇴사를 모두 겪다. (0) | 2018.07.08 |
---|---|
[SQL] query syntax (0) | 2018.07.04 |
[Firebase] Clouding message와 Node.js 연동 (0) | 2018.07.04 |
[Mongo DB] Mongo DB 개념 (0) | 2018.07.04 |
[REST API] RESTFUL API와 URL (0) | 2018.07.04 |